후오비 Prime이 올 3월 최초로 개시되었습니다. 따라서 이 TOP Network프로젝트는 순식간에 대중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게 되었고 TOP Network프로젝트 운영팀의 기술과 경험을 기반으로 수천만 명의 유저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개시 첫날만에 후오비 Prime은 27배 상승하였고 한 주 거래량이 비트코인을 넘어서면서 후오비 글로벌 랭킹에서 선두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IEO 열풍이 점점 줄어들면서 TOP Network는 기술혁신과 제품개발에 중점을 두고 최근에는 탈 중앙화의 VPN과 월렛 어플을 선보였습니다. 그리고 곧 메인 넷에서 앞서 말씀드린 두 어플을 만나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9월 초 한국 서울에서 최초로 TOP Network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여 포스트 IEO시대의 어플리케이션 발전과 관련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Blockcast.cc는 이번 기회를 빌려 TOP Network창시자 겸 CEO인 Steve Wei와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Blockcast.cc: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우선 간단한 자기소개와 업계에 진입하게 되신 이유를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Steve: Blockcast 구독자 여러분 반갑습니다. 그리고Blockccast님 안녕하세요. 저는 기술연구와 기술 개발에 주력해온 창업자입니다. 23년 전 저는 중국 베이징에서 WebEx의 창업자 주민(ZHU MIN)님을 알게 되었고 WebEx 초창기 직원으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중국에서 WebEx의 연구개발팀을 형성하게 되었죠. 일년 후, 저는 저의 팀과 함께 미국에 갔으며 2007년 WebEx은 32억 달러로 시스코에 인수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2004년부터 준비해왔던 창업 계획을 이어나갔으며 Cenwave회사를 설립했습니다. Cenwave는 화상통화와 온라인 교육 소프트웨어를 하는 기업으로 2010년에 화웨이에 인수되었습니다.
그 후 저는 화웨이 미국 혁신센터에서 1년 정도 일을 하고 2012년에 이직 하여 Dingtone을 설립했죠. Dingtone은 3개의 통신 App를 갖고 있으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8천만명의 유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저의 규모나 여러 측면에서 굉장히 긍정적인 양상을 보였습니다.
2017년 연말 즈음에 우연히 Orchid Labs라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온라인 탈 중앙화의 방식으로 운영되고 심사가 필요 없는 안전한 익명의 통신 네트워크입니다. 그때 저는 탈 중앙화의 통신기술이 곧 블록체인으로 인해 격변을 일으킬 것임을 예측했고 TOP Network를 시작했습니다.
Blockcast.cc: TOP Network 프로젝트의 현황과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요?
Steve: TOP Network는 3층 구조의 탈 중앙화 생태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가장 아래층은 퍼블릭 체인이고, 중간층은 업무 층, 즉 중앙화의 통신서비스 층이며, 최상 단에는 탈 중앙화의 통신 층이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주로 퍼블릭 체인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데 저희가 개발하고 있는 이 체인은 이더리움2.0을 목표로 합니다.
퍼블릭 체인의 개발은 이미 마무리 단계에 진입했으며 아마 곧 만나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더리움2.0보다 2년이라는 시간을 더욱 절감한 셈입니다. 저희는 개발을 하는 데에 있어 모든 자원과 인력을 총동원하였으며 이 프로젝트에 모든 힘을 쏟아 부었습니다.
Blockcast.cc: TOP Network메인넷의 특징은 무엇이며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퍼블릭 체인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Steve: 저희는 이더리움과 동일하게 층을 나누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설계했습니다. 이렇게 해야지만 TPS가 많은 통신데이터를 운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더리움2.0이 이루고자 하는 수많은 목표를 저희는 이미 이루었습니다. 여기에는 구역 분할, 스마트 계약, staking을 포함한 수많은 기술들이 있습니다. 특히 메인넷에 개시를 한다는 것은 8천만유저의 성원이 뒤따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블록체인의 유저확보에 큰 영향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Blockcast.cc: TOP Network의 TPS는 어디까지 달할 수 있나요?
Steve: 최종목표는 30만 TPS이며 3단계를 나눠 이 목표를 실현할 예정입니다. 메인 넷에서는 1만 TPS를 실현하고 앞으로 반년 동안 5만 정도 실현할 것입니다. 30만이라는 최종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layer 2의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lockcast.cc: 현재 TOP Network 생태에 포함된 몇 개의 통신 DApp외에 또 다른 DApp가 있나요?
Steve: 저희 팀내부에는 총 두개의 게임개발팀이 있는데요, 주로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개발하고있는 게임은 아마 내년 초에 정식으로 만나볼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블록체인 게임 분야에서 저희는 총 3개의 문제를 갖고 있습니다. 첫째는 게임 개발팀의 경우 전통적인 게임개발만 진행하다 보니 블록체인과 블록체인 경제모델에 대해 문외한인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는 게임의 기반이 될 수 있는 막강한 퍼블릭 체인의 부재입니다. 셋째는 자원과 노력이 대량으로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현재 퍼블릭 체인의 수는 많습니다만 개발인재는 굉장히 적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3자에게 위하는 방식으로 생태계를 구축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이죠. 하지만 저희는 다른 방식으로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 저희는 일차적으로 완비된 생태계를 구축하고 DApp와 거래의 수량을 확보한 뒤에 제3의 개발자에게 위탁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Blockcast.cc: TOP Network의 발전 현황은 어떤가요?
Steve: 저희는 금주에 노드 모집을 할 예정이며 이와 동시에 Staking계획도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저희의 메인넷 안전성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투자자들은 노드가 되어 저희의 Staking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노드에 코인을 배분해 마이닝에 참여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저희는 체인에서 노드의 수를 제한하지 않고 노드의 진입장벽 또한 낮기에 기술에 대한 전문성이 없어도 노드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저희 Staking에 참여할 경우 수익률은65%에 달할 것이며 연간수익률은 15%에 달할 것입니다. 그리고 저희 Staking은 스마트 협약으로 진행되고 노드가 없어져도 투자자의 수익을 확보할 수 있기에 투자 리스크가 없습니다.
그 외에도 저희는 글로벌 사업 개척에 힘쓰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의 경우 특히 그렇습니다. 저희는 더욱 많은 한국 투자자들과 협력하여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의 우수한 프로젝트, 언론들과의 협력 또한 굉장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자원을 공유하고 글로벌 판도를 넓히는데 주력할 것이며 그들의 중국 및 미국시장 진출에도 저희가 할 수 있는 많은 도움을 줄 예정입니다.
Blockcast.cc: 마지막으로 개인적인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요. 어떻게 좋은 프로젝트를 분별하고 투자할 수 있을까요?
Steve: 프로젝트가 가치 창출을 했는지 여부를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기술기반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자금과 인재가 결부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또한 뒤따라야 한다고 봅니다. 저는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을 믿어 의심치 않으며 미래에 수많은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볼 때 비트코인이 코인 시장을 독점하는 국면은 타개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따라서 기타 코인의 발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시장은 자신의 힘으로 기준 미달의 코인을 걸러내고 가치를 보유하고 지속가능한 소수의 프로젝트나 코인만을 남길 것입니다. 저는 TOP Network가 그 중 하나일 것이라 믿습니다.
Blockcast.cc: 오늘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다시한번 TOP Network가 성공적으로 메인넷에 개시될 것을 기원합니다.
Steve: 감사합니다. 그리고Blockccast의 성원에도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