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는 Non-Fungible Token으로 비동질화 토큰이다. 현재 이 토큰은 주로 수집품, 예술품, 게임, 가상세계 등에 집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집품과 예술품 산업은 NFT가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야이다.
2020년 7월 NFT예술작품 「Picasso』s Bull」은 5.5만 달러의 가격으로 경매되었다. 그리고 NFT 예술품의 거래가는 여러차례 신기록을 세웠다. 예로 「Right Place & Right Time」은 이미 10만 달러의 가격으로 거래되는가 하면 「Portraits of a Mind」는 13만 달러에 거래되었다. 그리고 이 기록은 디지털 예술가인 Mike Winkelmann(저명한 Beeple)의 창작 예술품에 의해 6,900만 달러에 기록 갱신되었다. 그의 NFT예술작품 ‘Everydays-The First 5000 Days’이 크리스티즈에서 놀라운 가격에 경매되면서 글로벌 언론들이 이를 보도하기도 했다.
2021년 5월 3일 전세계 NFT ‘암호저장’거래액은 1억달러를 넘나들어 NFT는 다시한번 여러 언론과 뉴스의 일면을 장식하여 2021년 가장 주목받는 ‘기회’로 자리잡았다. 발전단계에 처해있는 NFT는 새로운 가능성과 사용환경을 탐구해가고 있으며 이런 행보가 전통 예술산업에 어떤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며 어떤 산업에서 NFT의 기술과 이념을 받아들일 것이고 또 NFT가 어떤 도전에 직면해 있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현재 NFT기술은 다음과 같은 5개의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예술품- 예술품과 소장품은 현재 가장 인기있는 NFT사용환경임이 분명하다. NFT의 블록체인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예술가와 예술품은 더욱 많은 가능성을 확보했다. 전통 예술산업에서 예술작품의 가치는 예술가의 배경과 전시경력, 소장기록과 연관이 되어있다. 따라서 신인작가들의 작품은 전시와 판매의 기회를 얻기가 쉽지않다. 하지만 NFT예술세계에서는 작가의 이름을 익명으로 하며, 예술의 가치를 소셜 커뮤니티에서의 인기, 팬덤경제, 팬덤소비 등으로 매긴다. 이는 신세대 예술작가들에게 더욱 큰 발전의 공간을 준다.
이와 동시에 NFT의 기반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은 탈중앙화의 특징을 보유하고 있어 예술품을 현금화하는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로써 예술가들은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 예술품은 현금화를 하기위해 갤러리나 경매업체와 같은 중간업체에 의존해야 했는데 중개수수료는 수십퍼센트에 달했다. 더군다나 2차경매의 경우에는 예술가에게 그 어떤 이익도 부여되지 않는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사용한다면 예술가들은 직접 자신의 작품을 판매할 수 있고 그 중에 생기는 비용은 거래비용뿐이다.
전통예술품과 비교했을때, NFT예술작품은 보존과 유통이 상대적으로 간편하다. 디지털화 된 작품은 손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복원이 필요없고 거래가 투명하다. 또한 데이터 통계, 분석, 예측이 쉽다.
게임- 게이모들은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기술의 초기 실천 및 전파의 역할을 했다. 그들은 가상세계와 가상화폐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기에 가능했다. NFT기술을 통햐 게임속 비동질화된 가상자산은 코인으로 변화하여 간편하게 거래되고 시장에서 전환 및 교환이 될 것이다. 게이머들은 자신이 소유한 디지털 자산의 진정한 소유주이며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경제시스템이 생겨난 것이다. 게이머들이 게임에서 더욱 많은 권한을 부여받으면 게임에 대한 충성도 또한 향상되는데 디지털 자산이 게임 혹은 플랫폼에서 거래된다고 하면 게이머들은 이곳에 더욱 많은 시간과 정성을 들일 것이다.
신분관리- 현재 세계는 데이터 안전과 중요문서의 저장에 대해 더욱 큰 수요를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NFT는 투명성과, 안전성 그리고 함부로 수정이 불가한 특성으로 이 수요를 만족시킨다. NFT는 안전하게 특정 자산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데 그중에는 진료기록 및 자산, 주식 혹은 자격증, 면허증, 개인 자료, 출생 및 사망증명서, 교육 자격증 등의 정보가 여기에 포함된다. 하지만 이 분야는 여전히 초기 발전단계에 처해있으며 사용사례가 상기 사용환경보다는 적은 편이다.
NFT는 사건과 디지털 자산관리, 허가, 증명서류보관, 소장품의 이동과 보수, 체육상업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Passion Ventures펀드매니저 겸 ‘블록체인 혁명 2030’의 저자Anndy Lian 은 ‘일부 펀드는 NFT관련 제품을 선보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여러 국가와 정부에서도 블록체인과 NFT를 경제의 여러 분야에 사용하여 효율을 향상하고자 한다.’고 했다.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복제품, 판권침해, 불법복제품은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큰 도전이다. NFT는 이러한 사기행각을 제어하고 작가들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팬들과 작가들 사이를 가깝게 해줄 수 있다. 팬들은 NFT를 위한 다양한 세계를 구축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이며 요구에 따라 개인적인 혹은 분산된 DAO를 형성하여 NFT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게 된다. 팬들은 더이상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닐 것이다. 그들은 창작의 과정에 스며들 것이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탈중앙화 영화 플랫폼인 Mogul Productions는 이런 플랫폼을 사용하여 팬들이 영화 제작의 과정에 스며들게한다. 팬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영화극본을 위해 투표하고 융자하여 하나뿐인 NFT를 형성하고 또 영화의 배역을 담당하는 기회도 얻게된다.
Mogul Productions의 창시자 Lisa Sun은 이렇게 새로운 영화제작과 융자방식은 독립영화제작의 새로운 트랜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수많은 우수한 영화들이 아직 촬영되지 못한 상태다. 제작사에서 모든 영화제작과 관련된 권한을 소유하고 있어 팬들은 이에 아무런 영향력을 줄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블록체인과 NFT기술은 우리들에게 이런 현황을 개선할 수 있는 동력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부동산- 전통 부동산 산업은 수많은 문서를 사용하여 토지소유권과 자산등기를 기록해왔다. 하지만 NFT기술은 전반 과정을 디지털화하여 부동산의 이전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최근 부동산과학기술 회사 Propy는 최초의 NFT부동산 거래를 완성하였다. 샌프랜시스코에서 온 엔지니어 Devon Bernard 는 36ETH(약 93,000달러)의 가굑으로 Sviatoshyn 의 아파트 NFT를 구매하여 해당 부동산의 소유권을 얻었다. 앞으로 법률과 감독관리가 향상된다면 이러한 방식의 거래가 더욱 넓은 범위에서 사용될 것이라 생각한다.
NFT를 형성하고 판매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털 지갑을 만든다. 디지털 지갑은 안전한 NFT구매, 저장, 판매환경을 마련해주며 NFT플랫폼을 형성하고 연결하는데에 사용된다. 현재 시장에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갑은 Coinbase Wallet,MetaMask와 ImToken이다.
그리고 디지털화폐를 구매하여 NFT플랫폼에서 NFT를 형성 및 거래하는데에 사용한다.
그 다음에는 지갑 브라우저를 통해 지갑을 NFT시간에 연결시킨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NFT플랫폼은 Rarible,SuperRare,Nifty Gateway과 OpenSea이다.
지금부터 NFT를 형성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 보이는 모든 형식의 파일을 NFT로 판매할 수 일으며 사진 영상, 음성자료, 음악, 서면으로 된 레시피, GIF와 밈도 NFT로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JPG,TXT,PNG,MP3와 GIF도 NFT플랫폼에 업데이트하고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누군가가 NFT를 구매해준다묜 플랫폼은 자동으로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연결된 지갑에 송금할 것이다.
이 글을 보고난 당신, NFT에 대해 더욱 깊이 알게되지 않았는가?